지식공유
2016년 베트남 수출입 동향에 대해 알아봅시다.
방콕 지키미
2017. 5. 29. 15:09
2016년 베트남 수출입 동향
[1] 베트남 수출입 동향
1. 총괄
□ 2016년 베트남 수출은 1,766억 달러, 수입은 1,741억 달러를 기록, 무역수지는 25억 달러 흑자 달성
ㅇ ’15년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했으나 ’16년 1/4분기부터 이어져온 흑자 추세가 4/4분기까지 지속
ㅇ ’16년 베트남 수출은 전년 대비 9.0%, 수입은 5.2% 각각 증가
□ FDI 기업들의 수출입 실적은 2,262억 달러로 전체 교역의 72.3%를 차지하며 베트남 무역에서 절대적 비중을 유지
ㅇ FDI 기업 수출은 1239억 달러로 전년 대비 12.1%, 수입은 1022억 달러로 5.2% 각각 증가
- FDI 기업의 수출 및 수입비중은 각각 80.3%, 63.9% 차지
< 최근 베트남 수출입실적(억 달러, %) >
구 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수출(증감율) |
1,501.2 |
1,621.1 (7.9) |
1,766.3 (9.0) |
수입(증감율) |
1,480.5 |
1,656.5 (12.0) |
1,741.1 (5.2) |
수지 |
20.7 |
△35.4 |
25.2 |
출처: 베트남 관세청
2. 품목별 수출입 동향
□ 수출
ㅇ 휴대폰이 ’16년 베트남 수출 1위 품목 기록
- 휴대폰 수출은 전년 대비 13.8% 증가했으며 컴퓨터 및 전자제품과 함께 베트남 주요 수출 품목으로서 위상을 유지
ㅇ 휴대폰 및 부품(13.8%), 섬유·의류(4.6%), 전자제품(21.5%), 신발(8.3%), 기계공구 및 부품(24.3%) 등 수출상위 5대 품목 전반적으로 수출이 호조세 시현
ㅇ 경쟁국들의 생산 부진으로 커피 가격이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부진했던 커피 수출은 ’16년 24.9% 증가하며 회복세 시현
< 주요품목별 수출실적(백만 달러, %) >
품 목 |
2014년 |
2015년 |
2016년 |
휴대폰 및 부품 |
23,607 (11.1) |
30,176 ( 27.9) |
34,317( 13.8) |
섬유·의류 |
20.949 (16.8) |
22,815 ( 9.1) |
23,841 ( 4.6) |
전자·컴퓨터 및 부품 |
11,440 ( 7.9) |
15,610( 36.5) |
18,959( 21.5) |
신발 |
10,340 (23.1) |
12,011( 16.3) |
13,000 ( 8.3) |
기계공구 및 부품 |
7,314 (21.4) |
8,186 ( 11.7) |
10,143( 24.3) |
수산물 |
7,836 (17.1) |
6,573(△16.0) |
7,053 ( 7.4) |
목재 및 목제품 |
6,232 (11.5) |
6,899 ( 10.7) |
6,969 ( 1.1) |
차량제외 운송수단 및 부품 |
5,627 (13.4) |
5,844 ( 2.9) |
6,058 ( 3.7) |
커피 |
3,556 (30.9) |
2,674(△24.8) |
3,335 (24.9) |
핸드백·지갑·여행가방 |
2,536 (31.2) |
2,878 ( 13.5) |
3,168 ( 10.2) |
출처: 베트남 관세청
□ 수입
ㅇ ’16년 수입은 상반기 감소세를 보였으나 3분기 전자제품·컴퓨터 및 부품 등의 수입 증가로 전년 동기대비 5.2% 증가
ㅇ 베트남의 전력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석탄수입은 전년대비 7.3% 감소한 50억 달러 기록
ㅇ 저유가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석유제품 수입량은 전년대비 7.3% 감소
< 주요품목별 수입실적(백만 달러, %) >
품 목 |
2014년 |
2015년 |
2016년 |
기계공구 및 부품 |
22,500 ( 20.4) |
27,594( 23.1) |
28,371 ( 2.9) |
전자·컴퓨터 및 부품 |
18,722 ( 5.7) |
23,125( 23.4) |
27,874 ( 20.5) |
휴대폰 및 부품 |
8,476 ( 5.3) |
10,595( 24.8) |
10,559 (△0.3) |
철강 |
7,775 ( 16.8) |
7,492 (△2.9) |
8,016 ( 7.2) |
플라스틱 |
6,317 ( 10.6) |
5,958 (△5.7) |
6,256 ( 5.0) |
섬유·신발 원자재 |
4,692 ( 24.1) |
5,003 ( 6.7) |
5,066 ( 1.3) |
기타금속 |
3,434 ( 17.4) |
4,236 ( 23.5) |
4,806 ( 13.5) |
석유제품 |
7,665 ( 9.9) |
5,34(△29.1) |
4,944 (△7.3) |
플라스틱 제품 |
2,576 ( 26.1) |
3,760 ( 19.0) |
4,396 ( 17.0) |
화학제품 |
3,213 ( 14.4) |
3,415 ( 6.3) |
3,793 ( 11.1) |
출처: 베트남 관세청
3. 국가별 수출입 동향
ㅇ ’16년 베트남 최대 수출국은 미국, 그리고 최대 수입국은 중국이 차지
- 수출은 미국(385억 달러), 중국(220억 달러), 일본(147억 달러), 한국(114억 달러) 순으로 對美 수출은 對中 수출을 크게 압도
- 수입은 중국(500억 달러)이 압도적 1위를 기록한 가운데, 한국(320억 달러), 일본(150억 달러), 대만(112억 달러)등의 순으로 나타남
ㅇ 한국은 베트남의 4위 수출 대상국이며, 2위 수입 대상국임
< 2016년 주요 국가별 수출입 실적 >
수출 |
수입 |
||
국가 |
금액 (백만 달러)
|
국가 |
금액 (백만 달러)
|
미국 |
38,500 |
중국 |
50,000 |
중국 |
22,000 |
한국 |
32,000 |
일본 |
14,700 |
일본 |
15,000 |
한국 |
11,400 |
대만 |
11,200 |
홍콩 |
6,100 |
태국 |
8,800 |
네덜란드 |
6,000 |
미국 |
8,700 |
독일 |
6,000 |
말레이시아 |
5,100 |
아랍에미리트 |
5,000 |
싱가포르 |
4,700 |
영국 |
4,900 |
인도네시아 |
3,000 |
태국 |
3,600 |
독일 |
2,800 |
총 |
118,200 |
총 |
141,300 |
출처: 베트남 관세청
[2] 한-베트남 수출입 동향
1. 총괄
ㅇ ’16년 베트남은 한국의 4위 수출 대상국, 8위 수입 대상국 기록
- 베트남은 ’15년 4위 수출 대상국, 10위 수입 대상국이었으나 한-베트남 FTA 발효 이후 순위가 상승
ㅇ ’16년 對베트남 수출은 전년대비 17.6% 증가한 326억 달러, 수입은 27.4% 증가한 125억 달러를 각각 기록, 201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 시현
- 베트남은 중국, 홍콩, 미국에 이어 4위의 무역흑자 대상국
< 對베트남 수출입실적 (백만 달러, %) >
구 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수 출 |
15,954(18.5) |
21,088(32.2) |
22,352( 6.0) |
27,773(24.3) |
32,779 (17.6) |
수 입 |
5,718(12.5) |
7,175(25.5) |
7,990(11.4) |
9,803(2.7) |
12,495 (27.4) |
수 지 |
10,236 |
13,912 |
14,367 |
17,971 |
20,155 |
2. 품목별 수출 동향
ㅇ 최대 수출 품목군은 무선통신기기, 반도체, 평판디스플레이센서 등 휴대폰 관련 부품으로 對베트남 수출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
-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의 對베트남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59.3%, 98.4% 증가하여 전체 수출실적을 크게 견인
ㅇ 자동차의 對베트남 수출은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년 동기대비 18.9% 감소한 9.2억 달러 기록
ㅇ 석유제품의 對베트남 수출은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년 동기대비 231.2% 성장한 10.9억 달러 기록
< 주요 수출 품목 (백만 달러, %) >
구 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무선통신기기(휴대폰) |
2,270 |
45 |
4,249 |
87.1 |
5,192 |
22.2 |
반도체 |
2,789 |
△3.87 |
2,871 |
2.9 |
4,574 |
59.3 |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
597 |
△46.71 |
1,266 |
85.1 |
2,512 |
98.4 |
기구부품 |
937 |
0.93 |
1,233 |
31.7 |
1,722 |
39.6 |
합성수지 |
1,188 |
4.58 |
1,110 |
△6.5 |
1,203 |
8.4 |
석유제품 |
600 |
△23.7 |
328 |
△45.3 |
1,088 |
231.2 |
편직물 |
978 |
3.86 |
977 |
△0.1 |
1,077 |
10.3 |
자동차 |
713 |
63.12 |
1,137 |
59.4 |
921 |
△18.9 |
플라스틱제품 |
508 |
26.5 |
740 |
45.6 |
864 |
16.9 |
철강판 |
917 |
△4.76 |
839 |
△8.4 |
822 |
△2.1 |
3. 품목별 수입 동향
ㅇ 우리나라의 對베트남 수입품목은 휴대폰, 의류, 신발 등 현지 한국투자(FDI)업체로부터의 완제품 수입이 수위를 점유하고 있는 가운데, 목재, 영상기기, 기타 섬유제품, 기구부품 등이 뒤를 따르고 있음
- ’16년 對베트남 수입 1위 품목은 휴대폰으로 전년 동기대비 114% 증가한 31.5억 달러 차지
- 對베트남 수입 2위와 3위 품목은 의류와 신발로 각각 24.3억 달러와 6.3억 달러 수입
- ’16년 영상기기의 對베트남 수입이 전년 동기대비 126.7% 증가
< 주요 수입 품목 (백만 달러, %) >
구 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무선통신기기(휴대폰) |
292 |
55.6 |
1,470 |
403.4 |
3,145 |
113.9 |
의류 |
2,160 |
28.39 |
2,220 |
2.8 |
2,426 |
9.2 |
신발 |
506 |
34.22 |
526 |
4 |
628 |
19.2 |
컴퓨터 |
174 |
141.8 |
400 |
130.1 |
552 |
38.0 |
목재류 |
350 |
51.24 |
348 |
△0.7 |
428 |
23.1 |
영상기기 |
83 |
31.9 |
150 |
80.7 |
340 |
126.7 |
기타섬유제품 |
252 |
15.92 |
272 |
7.8 |
298 |
9.6 |
기구부품 |
104 |
167.2 |
205 |
97.2 |
268 |
30.7 |
갑각류 |
206 |
64.34 |
165 |
△19.9 |
195 |
18.1 |
계측제어분석기 |
136 |
185.5 |
201 |
48.6 |
172 |
△14.4 |
연체동물 |
168 |
26.9 |
161 |
△4.3 |
163 |
1.7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