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4년간 연평균 15% 성장
- 다만, 치열한 시장경쟁 압박과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가 산업발전의 저해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o VN steel社, Hoa phat社, Hoa sen社가 철강시장의 주요 생산업체임
- 원자재 및 생산기술의 높은 수입의존도와 국내·외 생산업체의 공급과잉으로 시장 경쟁이 치열함
□ 정부 통제적 성향
o 정부는 중앙 통제계획과 관세부과를 통해서 철강 산업을 통제함
![]() |
□ 주요 생산업체
o 정부는 국영기업인 VN Steel社을 운영하고 있지만, 민간기업인 Pomina社와 Hoa phat社의 효율성이 높은 상황임
![]() |
![]() |
◎ 공급자 교섭력
- 원자재는 주로 고철강(Scrap steel), 빌렛(Billet), 철광석(Iron ore), 점결탄(Coking coal) 등임
o (고철강) 전체 소비량의 70~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구매자 교섭력
◎ 신규 진입자의 위협
o 현지 및 외국 철강기업이 철강시장에 진출할 예정임
o 중국 기업들이 철강제품을 저가에 덤핑 처리함에 따라 공급과잉이 더욱 심화됨
□ 철강시장 성장 및 장애요인
◎ 성장 요인
o 베트남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철강 산업 또한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 중공업이 아직 발전 초기 단계이며 도시화 또한 빠르게 진행 중임
o 부동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철강 산업도 향후 성장할 여지가 충분함
◎ 장애 요인
o 높은 원자재 수입 의존도 및 과잉 공급이 베트남 철강 산업의 발전을 지체시킬 것으로 전망됨
□ 정부규제
o 정부는 자국 철강 산업 보호를 위해 세이프가드를 적용하고 있음
- ‘16년 7월에 발표된 시행령(2968/QD-BCT)에 따라 롱스틸제품과 빌렛에 대해 세이프가드 상계관세가 부과됨
제품 | 이전 관세 | 잠정 관세 | 최종 적용 관세 (’16년 8월부터 적용) |
Alloy Billet | 0% | 23.3% | 23.3% |
Non-alloy Billet | 5%-10% | 28.3% - 33.3% | 28.3% - 33.3% |
Long Alloy Steel Products | 10% | 24.2% | 25.4% |
Long Nonalloy Steel Products | 15%-20% | 29.2%-34.2% | 30.4% - 35.4% |
□ 전망
'해외시장 >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영화관 트렌드 (Vietnam Cinema Trend) (0) | 2017.02.09 |
---|---|
베트남 포켓몬Go 트렌드 (Vietnam Pokemon Go Trend) (0) | 2017.02.09 |
'16년 베트남 철강 산업 동향 (0) | 2017.02.09 |
베트남 수산양식업 현황 및 전망 (0) | 2017.02.09 |
베트남 농업, 간소화된 정책으로 추가 투자 기대 (0) | 2017.02.09 |
베트남, 외국인 노동허가서 발급 면제대상 확대, 신청절차 간소화 (0) | 2016.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