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의 맛집과 카페를 소개하는 블로그

출처: 2017-06-2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건설 경기 상승에 따라 가구·인테리어 시장 수요 확대될 것

- 진출 시 내수시장 경쟁  심화 및 습도 높은 현지 기후 고려해야


□ 베트남 가구시장 현황

 

 ㅇ 베트남 가구시장 28억9000만 달러 규모, 2020년까지 연평균 9.4%씩 성장 전망

  - BMI 리서치에 따르면, 2016년 베트남 가구소비시장 규모는 28억9000만 달러이며 전년대비 6.9% 성장함.

  - 베트남 가구시장은 유망한 시장 중 하나로 평가됨. 2016년 아시아 지역의 가구 소비액은 전년대비 2.7% 성장에 그쳤지만, 베트남은 2016~2020년 동안 연평균 9.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임(자료원: BMI, CSIL).

  - 또한 젊은 층의 인구가 많고 이들의 가처분소득 증가, 금융기관들의 주택 대출 지원정책 확대 등이 베트남 가구시장의 성장 잠재력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외에도 CBRE에 따르면, 2016년 3만5008호의 아파트가 호찌민에서 판매됐는데, 2017년에는 4만3861채의 아파트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향후 2~3년간 베트남 부동산 경기 호조 및 신규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구 생산·유통시장도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됨.



□ 베트남 가구시장 트렌드


 ㅇ 공간절약형 가구가 인기

  - 전통적인 베트남 집들은 폭이 2.5~4m로 좁고 높이는 7~10m로 긴 형태의 집들이 주를 이루고 있음(하기 이미지 참고). 이러한 집 구조로 인해 베트남은 이동이 간편하고 공간 절약이 가능한 가구를 선호하는 특징을 지님. 또한 집과 층마다 내부 구조가 달라 맞춤형 가구를 주문하기도 하며, 집 내부 계단으로 인해 가구 이동이 어려워 집에서 직접 조립되는 경우도 존재함.


 ㅇ 베트남산 가구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

  - 베트남 수공예목제협회(HAWA)에 따르면, 2016년 베트남산 가구의 시장점유율은 약 40%로 현지에서 생산되는 가구 비중이 이전에 비해 크게 상승하는 추세임. 오래 전부터 베트남 가구시장은 말레이시아·중국·대만·태국산 제품들이 약 8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었음.
  - 최근 베트남 가구 생산업체들이 내수시장 확대에 주력하는 이유는 목제품 수출 및 환경 관련 규제들이 강화되면서 해외 수출이 이전에 비해 다소 까다로워졌기 때문임. 한 예로, 베트남 목제품 3대 수출 시장으로 꼽히는 EU의 경우 '유럽연합 산하 산림관리와 거래행동계획(FLEGT)'을 통해 FLEGT 인증 목재만을 수입하고 불법 목재 유통을 금지하도록 베트남과 합의함.
  - 실제로 호찌민시 가구 거리(Ngo Gia Tu, 10군 소재)를 방문해본 결과, 수입산 가구는 발견하기 쉽지 않았음. 한 점주에 따르면, 과거 2~3년간 중국산 가구가 시장에서 범람했지만 최근에는 베트남 가구 생산업체들이 목제가구를 중심으로 품질이 높고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들을 많이 생산함. 판매 제품 중 50% 이상이 베트남산이라고 밝힘.
 
□ 베트남 가구제품 유통 구조
 
 ㅇ 주요 가구 거리를 중심으로 직접 구매를 선호
  - 가구 생산 이후 유통은 크게 수출과 내수유통으로 나뉨. 가구를 수출할 경우 생산업체는 수출업자에게 제품을 공급하고 이후 B2B, B2C 형태로 소비자들에게 전달됨. 내수 유통 역시 현지 가구 도매상 등을 거쳐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전달됨.
  - 대부분의 베트남인들은 가구 구매 시 주요 가구 거리를 먼저 방문하며, 이들 상점은 대부분 소규모 자영업자이거나 브랜드가 없는 제품 판매가 주를 이룸. 호찌민은 응오쟈뜨(Ngo Gia Tu) 거리, 하노이는 민카이(Minh Khai) 거리데라탄(De La Thanh)거리가 가구 거리로 유명함.    
  - 현지인들이 이와 같은 가구 거리 상점들을 선호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이들이 접근성 및 가격 경쟁력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일부 상점들은 고객의 요구에 맞게 맞춤형 가구를 직접 제작해주고 있기 때문임.
  - 이렇듯 베트남에서 가구 유통은 오프라인 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돼 있음. 베트남 고급 가구 유통사인 Nha Xinh('아름다운 집'이라는 뜻)의 영업 매니저와 인터뷰한 결과, 온라인 주문 시스템을 구축해놓았음에도 베트남 소비자들이 쇼룸을 방문해 제품을 직접 확인한 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가구 가격이 비교적 높고 구매 이후 불만족스러울 시 제품 교환이 쉽지 않기 때문에 베트남 소비자들이 구매 결정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ㅇ 대부분의 고가 수입가구들은 베트남 상류층 혹은 호텔∙고급아파트 용도로 유통
  - 수입 가구의 경우 수입∙유통업자 및 도매상을 거쳐 유통되고 있으며, 대부분이 고가의 프리미엄 가구로 소득 상위층을 타깃으로 하거나 호텔∙오피스·고급아파트 프로젝트 용도로 공급되기도 함.
 
□ 베트남의 목제 가구 수출입 동향
 
 ㅇ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1위 목제 가구 수출국가
  - 베트남은 대표적인 목제 가구 수출국가로, 2016년 목재류 수출액은 약 69억 달러를 기록해 동남아시아에서 1위, 아시아에서 2위, 전 세계 7위를 기록함(자료원: Worldaltas).
  - 베트남은 전 세계 100여 개 국가로 목제 가구를 수출함. 이 중 미국(39%), 중국(15%), EU(14%), 일본(14%), 한국(5%)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베트남 목재협회(VIFORES)는 2017년 베트남 목제품 수출액이 원재료 가격 상승에 힘입어 약 2%의 수출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함.


 ㅇ 목재류 1위 수입국가는 역시 중국… 전체 목재류 수입액의 16% 비중 차지

  - 2016년 베트남의 목재류 수입액은 약 18억76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7년에도 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 2016년 기준 베트남의 제1위 목재류 수입국가는 중국이며, 전체 목재류 수입액의 16%를 차지함. 또한 중국은 베트남의 목재류 수입 상위 5개 국가 중에 유일하게 전년대비 수입액이 증가함. 그 외 목재류 주요 수입국가인 미국, 캄보디아,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크게 감소함.



□ 베트남 가구시장 주요 플레이어


□ 베트남 가구 가격 비교
 
 ㅇ 베트남 가구 가격, 극과 극
  - 중급으로 평가되는 가구들은 대부분 베트남 혹은 중국에서 생산되며, 고급 가구들은 이탈리아·독일·스위스·미국 등지에서 수입되거나 혹은 베트남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들이 주로 생산하고 있음.
  - 특히 한국 가구제품을 포함해 고급가구 제품 가격은 베트남의 경제 수준 및 물가에 비해 매우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음. 베트남 고급가구 대표 유통사인 Nha Xinh, Kim’s Full House사에 따르면 고급 가구에 대한 베트남 시장 수요가 꽤 높은 편이며, 특히 베트남 소득 상위층과 베트남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주요 타깃 고객이라고 답함. 고급 가구들은 목재 재료 및 디자인이 일반 가구들과 차별화돼 인기가 높음.


□ 시사점
 
 ㅇ 아직은 기대에 못미치는 베트남 가구시장 규모
  - 베트남 가구시장 규모는 인구가 한국보다 약 2배 많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가구시장 대비 20~25% 수준에 불과해 아직은 시장규모가 작다고 평가할 수 있음. 이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크지 않기 때문임. 참고로 베트남 1인당 GDP 규모는 약 2000달러 수준
  - 베트남에 진출해있는 한국 가구업체들을 인터뷰한 결과, 한국 교민들을 중심으로 구매 수요가 있을 뿐 베트남 소비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고 답함.
 
 ㅇ 고급아파트, 오피스, 호텔·리조트 부문 건설경기 상승으로 베트남 가구시장 전망은 밝음.
  - 장기적 관점에서 베트남 경제 성장에 따른 1인당 국민 소득 향상, 고급아파트를 중심으로 신규 건설 프로젝트가 증가하면서 베트남 가구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또한 대베트남 외국인투자가 증가하면서 호찌민시와 하노이를 중심으로 오피스 빌딩 수요가 크게 늘어 사무용 가구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이외에도 베트남 관광산업 성장에 따라 호텔∙리조트 건설 프로젝트가 많이 생겨나면서 이에 따른 내부 인테리어 디자인 및 고급 가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음.
 
 ㅇ 베트남 가구시장 진출 시 유의할 점 3가지
  - 첫째, 베트남 가구시장이 아직은 규모가 작음. 따라서 우리 기업들 중 신규로 베트남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경영 위험 부담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요구됨. 예를 들어, 처음부터 공격적인 투자를 하기보다는 현지 파트너사와 합작회사를 설립하거나 혹은 대표사무소∙지점을 설립한 이후 현지 시장을 충분히 이해하고 조사하는 과정을 통해 경영 리스크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음.
  - 둘째, 최근 베트남의 목재류 수출 상대국가의 수입 요건이 강화되면서 수출 증가율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음. 이에 따라 베트남 목재 가구 가공업체들이 수출 중심에서 내수 중심으로 전략을 선회함에 따라 내수시장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됨.
  - 셋째, 또한 베트남은 습한 기후로 인해 목제 가구의 경우 곰팡이 등 품질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높음. 따라서 습기에 강한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됨.

자료원: BMI, 베트남 관세청, 베트남 상공회의소, CBRE, worldatlas, 현지 인터뷰, 현지 언론 보도 및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