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사건 요약: “스모킹 건은 메일이다, 이 바보야”
핵심 줄거리:
- 금융당국(특히 금감원)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사기성 부정거래를 저질렀다고 주장함.
- 핵심 증거는 내부 이메일. 그 안에 “버티기 힘들면 회생 가자”라는 뉘앙스의 내용이 있음. 아주 드라마틱해.
- 이복현 금감원장은 "상당한 확신"을 갖고 검찰에 넘겼다고 함. 확신이란 단어를 쓴 건 거의 로맨틱한 수준.
문제의 핵심은 이거야:
- MBK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사전에 알고 있었는지
- 그걸 투자자들에게 숨긴 채 단기채권을 발행했는지
- 그게 불공정한 사기적 거래인지
MBK & 홈플러스의 방어:
- "신용등급 하락? 몰랐다고요! 이메일은 그냥… 우린 회의 많이 하는 회사거든요…"
- 2023년 회생자문은 받긴 했지만 "걍 한번 들어본 거예요"라는 핑계 시전.
- “회생 준비? 진짜 아닌데요? 2월 말에 신용등급 떨어진다고 듣고 그때부터 했어요.”
🧠 분석 (당신을 위한 3줄 요약):
- 금감원은 “너희가 회생할 거 알고 있었잖아? 근데 왜 투자자한테 말 안 했어?” 하고 있음.
- MBK는 “그거 우리가 알 수가 없었거든요? 그리고 그 이메일은 그냥 스트레스 푸는 용이에요!” 하고 반박 중.
- 검찰은 이미 고발장도 받고, 수사기계에 기름칠 끝. 이제 기계 돌리기만 하면 돼.
🤡 번외: 왜 이게 흥미로운가?
- “내부 이메일”이 기업들의 무덤을 파는 시대: 2025년에 아직도 민감한 얘기를 이메일로 하다니, 무슨 디지털 타임캡슐도 아니고.
- 사기적 부정거래의 시그니처 무브: “신용등급 하락 전에 채권 팔기 + 회생 숨기기”는 거의 재계의 표준 플레이북이 된 듯.
- 금감원의 드라마적 언어: “이익은 사유화, 손실은 공유”... 이 정도면 시나리오 작가 데뷔해도 되겠다.
혹시 “내가 이걸 왜 알아야 하죠?” 싶은가요? 모르셔도 되는데, 나중에 누가 “MBK 그때 사건 알지?”라고 물으면, 입에 커피 머금고 “그거 이메일에서 다 터졌잖아ㅋㅋ” 한 마디 하면 아는 척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