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전 세계 직업적 이유로 투옥된 언론인 수 추이를 분석했습니다.
코로나19·정치 불안정이 언론 탄압을 어떻게 심화했는지, 그리고 대응 방안을 한눈에 확인하세요.
–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CPJ) 자료 기반
1. 조사 개요
- 조사 기관: 국제언론인보호위원회(CPJ)
- 기준 시점: 매년 12월 1일 0시 기준 구금 중인 언론인 수
- 조사 대상: 직업적 이유로 투옥된 언론인 (연중 석방·투옥 이력 미포함)
2. 연도별 투옥 언론인 수
연도투옥 언론인 수
2014 | 236 |
2015 | 198 |
2016 | 271 |
2017 | 273 |
2018 | 260 |
2019 | 260 |
2020 | 285 |
2021 | 302 |
2022 | 369 |
2023 | 337 |
2024 | 361 |
- 최저치: 2015년(198명)
- 최고치: 2022년(369명)
- 2024년에도 361명이 투옥되어 여전히 높은 수준 유지
3. 주요 인사이트
- 점진적 증가세
- 2015년 이후 전반적으로 투옥 언론인 수가 우상향 중
- 특히 2020년대 들어 300명대를 기록하며 심각한 인권·언론 탄압 상황을 드러냄
- 코로나19·정치 불안정 영향
- 팬데믹 시기 정부 비판 보도가 강화되며 2020년 이후 투옥 사례 급증
- 사회 혼란·정권 불안정 지역에서 언론의 감시·제재가 더욱 강화
- 최근 완만한 등락
- 2022년 정점 이후 소폭 감소(2023년)→다시 증가(2024년)
- 완전한 개선 없이 여전히 위협적인 환경
4. 시사점 및 대응 방안
- 국제사회 연대 강화
- 언론 자유 지수·인권 보고서 등 국제적 의제화 필요
- NGO·언론인 보호 기금 확대
- 투옥 언론인 가족 지원, 법률 상담, 석방 로비 강화
- 디지털 보안 교육
- 검열·감시를 피하기 위한 암호화·익명화 기술 교육
결론
언론인은 ‘진실을 알릴 권리’를 위해 목숨을 걸고 보도합니다. 하지만 세계 곳곳에서 여전히 수백 명이 수감되어 목소리를 잃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의 관심과 지원이 투옥 언론인의 자유 회복에 큰 힘이 됩니다.
“언론이 안전해야 사회가 건강해집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