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3 무역원조(Aid for Trade) 현황과 향후 과제 출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 배경2. 국제사회의 무역원조 현황3. 무역원조 성과관리 논의4. 향후 과제 및 시사점 ▶ 개도국에 대한 개발협력에서 무역의 역할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무역원조(AfT: Aid for Trade)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음.- 최근 국제사회에서 새로운 개발목표로 논의되고 있는 ‘Post-2015 개발의제’에서 AfT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AfT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AfT의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평가할 수 있는 성과관리 프레임워크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됨. ▶ 국제사회의 AfT 규모는 2002년부터 점차 증가하여 2012년에는 전년대비 20%가량 확대된 533.8억 달러를 기록함으로써 전체 ODA에서 약 30%를 차지-.. 2014. 10. 28. 한-일 FTA의 거시경제적효과 분석 한-일 FTA의 거시경제적효과 분석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김한성님 1. 한-일 양자관계 2. 한-일 FTA 추진 현황 3. 한-일 FTA 거시경제적 효과: GTAP Simulation • 모형 및 가정 • 시나리오 • 거시경제 효과: 실질 GDP, 후생, 산업별 효과 4. 한-일 FTA 주요 이슈 5. 결론 한-일 FTA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 • 산업계에서는 여전히 한-일 FTA에 대하여 우려를 표명 • 단기적으로 피해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으로 어떠한 이득과 피해가 있을지에 대한 보다 세밀한 점검이 필요 동아시아 경제통합 과정으로서의 한-일 FTA • 미국발 금융위기 è 지역 경쟁통합에 대한 요구 증가 • 한-일 FTA도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할 과정 한-일 FTA의 타결 .. 2010. 6. 12. 아일랜드 경제위기 과정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 최근 경기침체 현황 2. 아일랜드 경제위기 과정 3. 평가 및 시사점 2009. 8.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