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IBRO2 hsdpa 와 WiBro 비교 ■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란? : 하향고속화패킷 접속방식 / 비동기식 3.5G 이동통신 서비스 / W-CDMA 진화 본 ==> 기존의 비동기 IMT-2000 표준의 진화단계에 위치함 (Main 통신 주류) 획기적인 전송률 향상과 더불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IP Multi-Media 서비스 제공에 효율적인 시스템임 ■ HSDPA와 WiBro의 관계 : WiBro는 전송속도와 가격 면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인터넷 접속 중심으로 진화하는 반면 HSDPA는 이동성과 커버리지 측면의 이점을 앞에서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되 음성 중심으로 진행될 것임. WiBro는 대도시 인구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대용량 서비스가 가능한 반면 HSDPA는 소용량이지만 전국을.. 2007. 10. 25. Wibro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고 싶습니다.. ▶ 질문 Wibro의 개념 개발에서 표준으로 채택까지의 과정 향후 수요 전망치 등 Wibro에 대한 개념체계확립에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합니다. 〓〓〓〓〓〓〓〓〓〓〓〓〓〓〓〓〓〓〓〓〓〓〓〓〓〓〓〓〓〓〓 ▶ 답변 1.휴대인터넷 와이브로(WiBro)의 개념 와이브로(WiBro)란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의 줄임말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지 및 이동중에 언제, 어디서나 고속의 전송속도(약1Mbps급) 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및 콘텐츠 사용이 가능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말한다. 즉, 실내의 유선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실외에서 이동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2.3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셀 반경 1Km이내, 이동시 최소 60Km/H 이상에서.. 2007. 10.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