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xlife

반응형
출처: 무역협회 호치민지부

《 요  약 》
□ 우리기업들은 가파르게 성장하는 베트남 전력시장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
o 베트남 전력은 성장단계에 있는 산업으로, ’12년부터 ’16년까지 베트남 전기 수요는 매년 8.7%씩 성장
- 베트남 전력산업의 성장세는 유가, 환율 변동 및 기후에 따라서 유동적일 것으로 보이나, ’16년부터 ’20년까지 베트남 전력산업 평균성장률은 10.3%-11.3%에 달하는 등 그 성장세가 빨라질 전망 ※ 베트남 전력생산 비중: 수력(36.59%), 석탄(36.29%), 가스(25.7%)

□ 베트남 정부는 전력소비 증가에 따라 발전설비량 목표도 크게 확대할 계획임. 특히, 향후 高성장이 예상되는 화력(Thermal) 발전에서 우리기업과의 협력과 진출을 가속화활 필요가 있음
o 베트남 정부는 전력 소비가 ’20년까지 2,350억-2,045억kWh, ’25년까지 3,520억-3,790억kWh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발전설비량을 ’20년 60,000MW, '25년 96,500MW로 확대할 계획임
- 산업통상부(MOIT)의 제7차 전력개발전략에 따르면, 개발가능한 수력발전소가 많지 않아 화력발전(Thermal)이 향후 발전의 중심으로 부각될 전망
- 석탄화력발전이 전체 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년 49.3%, ’25년 55%로 확대되고, 가스터빈 화력발전 생산 비중은 ’20년 16.6%에서 ’25년 19.1%로 증가할 전망
 
□ 발전시장의 11.6%를 차지하며 전력공급에 있어 향후 역할이 기대되는 독립발전사업자(IPP: Independent Power Producer)의 프로젝트에서 EPC, 기자재 및 부품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사료됨
o 베트남 전력시장은 전력공사(EVN)와 그 계열사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페트로베트남(PVN)社와 비나코민(Vinacomin)社와 같이 발전원료의 생산과 유통을 독점하는 국영기업이 독립발전사업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가스생산 및 유통을 독점하는 PVN(Petrol Vietnam)社와 석탄생산 및 유통을 독점하는 Vinacomin社가 독립발전사업자로서 각각 6.6%, 5%의 발전 시장을 점유
- 독립발전사업자들의 경우, 벤더등록 등 구매통제시스템의 덜 고도화되어 있고, 구매담당자가 기자재·부품 등의 구매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됨
o 베트남 전력산업 경쟁력강화 로드맵에 따라, 보다 시장중심의 경쟁요소가 발전시장에 도입되면, 독립발전사업자들이 베트남 전력시장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됨
 
□ 베트남의 막대한 전력인프라 시장에 적극 참여하기 위해서는 최고 의사정책 결정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 업계와 더불어 공적 금융기관-정부의 지원 노력이 지속되어야 함
o 정부가 통제하는 전력산업의 경우, 인프라 개발 참여 등에 있어 강한 對정부 로비 능력이 중요함. 민간에서는 대기업-중소기업과의 동반진출을 강화하고 정부와 기관은 ODA·개발은행 투자 유치 및 對기업 지원 체계 고도화 등의 노력이 필요함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해외사업 정보 공유, 입찰 공동참여 등 동반진출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음
- 중소기업은 가격경쟁이 덜하고, 정비사업 등 대기업이 이미 진출한 프로젝트에서부터 해외시장 진출을 노리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됨

1. 베트남 전력산업 개요
 
□ 전력 주기 및 생산량(Life Cycle and Performance)
o ’12년부터 ’16년까지 베트남 전력 산업은 전력 수요 면에서 연평균성장률 8.7%을 기록하며 빠른 성장을 거두고 있음
- ’16년까지 총 생산된 전력량은 1590.45억kWh, 총생산량과 수입된 전력량을 합한 양은 1760.99억kWh, 발전설비량은 시간당 38,676MW에 달함
- ’16년부터 ’20년까지 베트남 전력산업의 연평균성장률은 10.3%-11.3%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전력 공급망(Supply Chain)
o 베트남 전력 산업은 원료주입, 생산과정, 급전, 송전, 배전 및 전력 도소매로 이루어져 있음
- 생산된 전력을 중앙급전소(NLDC: National Load and Dispatch Center)가 최소 비용으로 수요자에게 전달
- 발전소에서 송전된 전력은 하위기지로 전달되며, 저전압 전력으로 전환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배전됨
 
< 베트남 전력 공급 흐름도 >

            
 
□ 전력원(Power Sources)
o 베트남 주요 전력원은 수력, 석탄과 가스이며 전체 전력 중 수력이 36.59%, 석탄이 36.29%, 가스가 25.7%를 차지함
- 재생에너지 중 풍력과 바이오매스는 아직 초기 단계임
 
2. 베트남 전력원 종류 및 특징
□ 수력(Hydro-power)
o 베트남의 주요 수력발전소는 다강(đa), 세산강(Se San), 동나이강(đng Nai) 등에 위치해 있으며, 30,000MW의 매우 큰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음
- 우기의 생산량은 건기의 생산량의 2배에 달할 정도로, 수력발전은 화력발전보다 효율적이지만, 계절에 크게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음
 
□ 석탄(Coal)
o 베트남은 풍부한 석탄 매장량 보유에도 불구하고 발전용 석탄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16년 베트남 석탄 3,480만톤을 생산하고 1,330만톤을 수입했으며, 국영기업인 Vinacomin社이 석탄 수입 및 유통을 독점하고 있음
o 현지에서 생산되는 석탄 가격이 글로벌 석탄 가격보다 높아 석탄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짐
- 또한, 국내에서 생산되는 석탄은 부가가치세(VAT), 법인세, 토지세, 환경세, 수출관세 등 다양한 세금이 부과 돼 수입의존도가 높음
- 노천 석탄광산의 석탄이 고갈되는 등 석탄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며 수출세 등으로 중국 등 해외 시장으로 수출이 매우 어려움
o 석탄 가격은 시장 메커니즘이 아니라 정부가 결정함
- 현지 생산되는 석탄 가격은 생산비용보다 저렴하게 책정되며 수입 석탄 가격은 ’16년 3/4분기까지 안정세를 유지하였으나 4/4분기부터 38% 폭등함
- 최근 수입 석탄 가격 상승의 여파로 석탄 판매가도 상승 압력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화력 발전소 발전 단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가스(Gas)
o 베트남은 7,000억m³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여 동아시아에서 중국에 이어 제2위의 천연가스 대국임
- ’16년 천연가스 총 산출량은 106.1억m³으로 생산량의 80%는 발전소에서 사용되며 10%는 비료 공장 등에 판매됨
o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베트남은 ’16년 12.3억m³의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입했으며, 국영기업 PVN(Petrol Vietnam)의 자회사인 PV Gas社가 LNG 수입을 독점하고 있음
o 현지 천연가스 가격은 싱가포르의 연료유(Fuel Oil) 매월 평균 가격의 46%에 고정되어 있음
- ’16년 연료유 가격으로 발전단가가 상승함에 따라 가스터빈 발전소 순이익이 감소함

3. 베트남 발전 및 전력 소비
 
□ 전력 발전(Power Generation)
o 국영기업인 베트남전력공사(EVN)와 독립발전사업자(IPPs)가 전력을 대부분 생산하고 있음
o 발전설비량은 실제 발전량보다 크지만, 주로 건기에는 전력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지역별 및 시간대별 전력 소비 차이, 정확한 생산계획 및 효율적 관리 부족, 그리고 수력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송전정지 및 정전이 자주 발생함
 
□ 베트남전력공사(EVN)
o 베트남전력공사(EVN)는 베트남 산업통상부(MOIT) 산하 국영기업으로서 산하 국영기업과 총 전력 발전 설비량의 60% 이상을 통제하고 있음
- 베트남전력공사(EVN)는 송전망 확충과 발전소 관리를 담당하는 3개의 계열사(GENCO-1, GENCO-2, GENCO-3)를 보유 중임
- 조직개편 후 전략적으로 중요한 호아빈(Hoa Binh), 선라(Sn La), 라이쩌우(Lai Chau), 야리(Yaly), 찌안(Tr An), 뚜옌꽝(Tuyen Quang) 수력발전소는 베트남전력공사(EVN)가 직접 관리 및 통제하고 있음

□ 독립발전사업자(IPPs)
o 독립발전사업자들은 전체 시장 중 11.6%를 차지하며 최대 독립발전사업자인 PVN(Petrol Vietnam)社 등이 베트남 전력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국영기업 PVN(Petrol Vietnam)社는 까마우1,2(Ca Mau), 연짝1,2(Nhn Trch) 총 4개 가스터빈발전소에 투자했으며 수력발전소 3개와 풍력발전소 1개도 보유 중임
o PVN(Petrol Vietnam)社 외에도 석탄생산 및 유통을 독점하는 Vinacomin社도 독립발전사업자 중 하나로서 5%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음
- PVN(Petrol Vietnam)社와 마찬가지로, Vinacomin社는 석탄 생산과 유통을 독점하며 화력발전소에 원료를 직접 공급할 수 있어, 전력 생산이 용이함
o 기타 Song Da Corporation, Licogi社 등 현지 건설 및 엔지니어링 기업, 그리고 AES Corporation(미국), Posco Energy社(한국), Tata Power社(인도) 등이 베트남 발전시장에 참여하거나 투자 중임
 
□ 전력 소비(Power Consumption)
o 전력 소비 단계에서 베트남전력공사(EVN)가 급전, 송전, 분배, 소매 판매를 독점하고 있음
 
□ 전력 급전(Load Dispatch)
o 베트남전력공사(EVN)의 산하 국영기업인 중앙급전소(NLDC)가 독점적으로 전력 급전을 관리함
- 중앙급전소(NLDC)는 전력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전력의 안정성과 품질을 보장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전력 송전(Transmission)
o 국영전력송전공사(NPT)도 베트남전력공사(EVN)의 산하 국영 기업으로 전력 송전을 독점하고 있음
- 전력 송전은 550kV 남-북 전력공급라인과 220kV 초고압 라인, 그리고 국가송전시스템으로 이루어짐
 
□ 유통 및 판매(Distribution and Retail)
o 5개의 배전공사(PCs: Power Corporations)가 전력 유통 및 판매를 독점함
- 110kV 지역 배전망과 고압 배전망을 관리하여 0.4kV 전력으로 변전 후 공급자 및 최종 소비자에게 제공
o 베트남전력공사(EVN)의 산하 국영기업인 전력거래소(EPTC: Electric Power Trading Company)는 전력을 발전소로부터 독점 구매하여 유통업자 또는 소매업자에게 판매하는 전력 생산과 분배의 중간 역할을 수행

4. 에너지 계획 및 향후 전망
 
□ 가버넌스(Governance)
o 베트남 전력은 산업통상부(MOIT)와 산업통상부 산하기구인 전력규제기관(ERAV) 및 에너지총국(GDE)에 의해 강력하게 관리·통제 되고 있음
- 전력규제기관(ERAV)은 가격을 통제하고 수요와 공급을 모니터링하며, 허가증 발행, 산업구조 정책을 권고하는 등 전력시스템 전반을 감독
- 에너지총국(GDE)은 정책 마련, 정부 계획, 건설 정책의 자문기구로, 전력산업에 전반에 법적인 권한은 미미함
 
□ 에너지 수급 계획
o 베트남 정부는 전력 소비가 ’20년까지 2,350억-2,045억kWh, ’25년까지 3,520억-3,790억kWh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발전설비량 목표를 ’20년까지 60,000MW, '25년까지 96,500MW로 확대할 계획임
o 향후 개발할 수 있는 수력발전소가 많지 않아 화력발전이 발전의 중심으로 부각될 전망이며, 석탄화력발전이 전체 에너지 믹스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년 49.3%, ’25년 55%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가스터빈화력발전 생산 비중은 ’20년 16.6%에서 ’25년 19.1%로 증가하고, 재생에너지(풍력, 태양열, 바이오매스, 소규모 수력)도 생산 비중이 ’20년 6.5%, ’25년 6.9%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베트남 정부는 지난 2011년 풍력발전사업을 ‘제7차 전력개발계획’ 우선 분야로 지정하고 2020년까지 1000㎿, 2030년까지 6200㎿ 전력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원자력도 사용 가능한 전력원이지만 환경 및 비용적 요인으로 베트남 전력계획로드맵에서 철회되어, 우리나라 원전의 對베트남 수출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됨
 
□ 전력시장 개혁(Competitive Reforms)
o '06년 베트남 정부는 전력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효율성 및 독립성 제고를 위해 3단계의 경쟁력강화 로르맵을 확정
- 정부는 개혁 첫 단계(’05-’14)에서 EVN(전력공사) 이외에도 다른 경쟁기업들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임. 동 단계에서 전력거래소(EPTC)의 전력유통 독점은 그대로 유지
- 개혁 두 번째 단계(’15-’22년)에서는 전력 유통에 있어서도 시장원리를 도입하여, 전력거래소(EPTC)뿐만 아니라 다른 경쟁자들도 발전소로부터 전력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임
- 개혁 세 번째 단계(’22년 이후)에서는 전력 소매시장에도 시장원리를 도입하여, 발전소도 최종소비자에게 직접 판매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임
o ’17년 3월 현재, 경쟁력강화 로드맵에서 계획한 개혁스케줄이 여전히 실현되지 않고 있어, 베트남 전력 산업은 아직까지 개혁 첫 단계에 머물고 있음
- 산업통상부(MOIT)는 ’17년-’18년에 개혁 2단계 실행을 위한 파일럿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임
 
□ 가격 메커니즘(Price Mechanism)
o 베트남전력공사(EVN)가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대부분을 계약에 의거 구매하며 나머지는 시장에서 거래됨
- (계약 가격) 생산전력의 75%-90%는 전력공사(EVN)에 판매되며, 운영비용, 대출이자 등 예측을 통해 구매가격이 결정
- (시장 가격) 소규모로 생산되는 전력은 Open market에서 거래됨. 판매가격이 생산가격을 초과하면 이윤창출로 이어지지만 시장 가격은 중앙급전소(NLDC)에서 매시간 고시하는 기본가격(base price)에 따라 결정됨
 
□ 전력시장 전망(Outlook)
o 전력개발플랜(PDPVII, 2016)에 따르면, 베트남 전력소비는 ’16년부터 ’20년까지 연평균성장률이 10.3%-11.3%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15년 전력수요증가율(11.23%)와 ’15년 GDP성장률(6.7%)을 감안할 때, ’16년부터 ’20년까지 연평균성장률은 두자리 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 전력 수요와 전력공급 프로젝트를 감안시, 2017년과 2018년도 전력 공급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것임
o 유가, 환율의 변동 및 기후가 잠재적 위험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유가) World Bank 보고서(2017)에 따르면 ’17년 유가가 15% 상승할 것으로 보임. 하지만, 석탄가격은 공급의 증가와 對중국 석탄수출 감소로 인해 ’16년 11월 기준 톤당 100달러에서 70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 (기후) 수력발전은 ’17년 엘니뇨(El Nino)의 종료와 라니냐(La Nina)의 영향으로 발전량이 커지는 등 긍정적
- (환율) ’17년 미국 경제 회복과 미국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 계획으로 베트남 동-달러 환율이 2-4% 평가절하 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력생산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임
 
5. 우리기업에의 시사점
 
□ 우리기업들은 가파르게 성장하는 베트남 전력시장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
o 베트남 전력은 성장단계에 있는 산업으로, ’12년부터 ’16년까지 베트남 전기 수요는 매년 8.7%씩 성장
- 베트남 전력산업의 성장세는 유가, 환율 변동 및 기후에 따라서 유동적일 것으로 보이나, ’16년부터 ’20년까지 베트남 전력산업 평균성장률은 10.3%-11.3%에 달하는 등 그 성장세가 빨라질 전망
※ 베트남 전력생산 비중: 수력(36.59%), 석탄(36.29%), 가스(25.7%)
 
□ 베트남 정부는 전력소비 증가에 따라 발전설비량 목표도 크게 확대할 계획임. 특히, 향후 高성장이 예상되는 화력(Thermal) 발전에서 우리기업과의 협력과 진출을 가속화활 필요가 있음
o 베트남 정부는 전력 소비가 ’20년까지 2,350억-2,045억kWh, ’25년까지 3,520억-3,790억kWh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발전설비량을 ’20년 60,000MW, '25년 96,500MW로 확대할 계획임
- 산업통상부(MOIT)의 제7차 전력개발전략에 따르면, 개발가능한 수력발전소가 많지 않아 화력발전(Thermal)이 향후 발전의 중심으로 부각될 전망
- 석탄화력발전이 전체 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년 49.3%, ’25년 55%로 확대되고, 가스터빈 화력발전 생산 비중은 ’20년 16.6%에서 ’25년 19.1%로 증가할 전망
 
□ 발전시장의 11.6%를 차지하며 전력공급에 있어 향후 역할이 기대되는 독립발전사업자(IPP: Independent Power Producer)의 프로젝트에서 EPC, 기자재 및 부품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사료됨
o 베트남 전력시장은 전력공사(EVN)와 그 계열사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페트로베트남(PVN)社와 비나코민(Vinacomin)社와 같이 발전원료의 생산과 유통을 독점하는 국영기업이 독립발전사업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가스생산 및 유통을 독점하는 PVN(Petrol Vietnam)社와 석탄생산 및 유통을 독점하는 Vinacomin社가 독립발전사업자로서 각각 6.6%, 5%의 발전 시장을 점유
- 독립발전사업자들의 경우, 벤더등록 등 구매통제시스템의 덜 고도화되어 있고, 구매담당자가 기자재·부품 등의 구매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됨
o 베트남 전력산업 경쟁력강화 로드맵에 따라, 보다 시장중심의 경쟁요소가 발전시장에 도입되면, 독립발전사업자들이 베트남 전력시장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됨
 
□ 베트남의 막대한 전력인프라 시장에 적극 참여하기 위해서는 최고 의사정책 결정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 업계와 더불어 공적 금융기관-정부의 지원 노력이 지속되어야 함
o 정부가 통제하는 전력산업의 경우, 인프라 개발 참여 등에 있어 강한 對정부 로비 능력이 중요함. 민간에서는 대기업-중소기업과의 동반진출을 강화하고 정부와 기관은 ODA·개발은행 투자 유치 및 對기업 지원 체계 고도화 등의 노력이 필요함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해외사업 정보 공유, 입찰 공동참여 등 동반진출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음
- 중소기업은 가격경쟁이 덜하고, 정비사업 등 대기업이 이미 진출한 프로젝트에서부터 해외시장 진출을 노리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됨

첨부 1: 우리기업의 프로젝트 추진 현황

[화력발전]
1) 한국전력
o 2013년 베트남 산업무역부가 국제입찰로 발주한 탄화성 응이손 2 석탄화력발전(1,200MW) 건설 및 운영사업(BOT)의 낙찰자로 선정
- 응이손 2 사업은 베트남에서 수입 유연탄을 사용하는 최초의 대용량 석탄화력 IPP(Independent Power Producer 민자발전사업자) 사업으로, 향후 베트남 전력시장의 모델 IPP사업이 될 것으로 기대
- 일본의 마루베니 상사와 50:50 동일지분으로 참여하는 본 사업은 베트남 전력공사가 25년간 전력구입을 보장함으로써 총 150억불의 안정적 매출을 확보
o 2014년 베트남 롱안성에 1,200㎿급 화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기로 하고 롱안성 인민위원회의 승인을 얻음
o 베트남 남부 하우장성에 37억 달러를 투입해 2000MW급 화력발전소 건립을 추진 예정
2) 태광실업
o 자회사 태광파워홀딩스를 통해 베트남 북부 남딘성에 1,200MW 규모의 발전소 2곳 건설을 추진
- 총 사업규모는 22억 달러임. 자본금 5.5억 달러는 태광실업과 사우디아라비아 발전사업자인 아크아 파워(Acwa Power) 등이 출자하고 16.5억 달러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으로 조달
3) 삼성물산
o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2014년 삼성물산이 제출한 중부 하띤성의 붕앙3 발전사업 투자제안서를 공식 승인 사업권을 부여
- 삼성물산은 24억 달러를 투입하여 1,200㎿급 화력발전소를 건설할 예정

[태양광 발전]
1) 한화솔라원
o 한화솔라원은 2015년말 베트남 중부 투아티엔후에(Thua Thien Hue)성 정부와 태양광 발전소 건립에 합의 (총 2억 달러의 발전용량 100MW~200MW 규모
2) 신성솔라에너지/서부발전
o 신성솔라에너지가 한국서부발전과 공동으로 베트남 중부 닥농성에 300MW 규모의 태양광발전사업을 추진 중
3) Solar Park Korea
o Solar Par Korea 사는 하띤성에 300MW 규모의 태양광발전 사업을 협의 중이며, 6억 5천만달러의 투자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
4) Doosung Vina
o 빈투안 성에 30MW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투자승인을 2015년 획득. 이미 빈투안성에는 Tuy Phong 프로젝트라는 태양광발전 사업이 추진중이며 6,600만달러가 투자되어 2017년에 가동 예정

[풍력발전]
o 우진건설·건화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은 2015년 베트남 남부 짜빈(Tra Vinh)시 경제구역관리위원회로부터 풍력발전 설비 건설 사업 투자허가서를 획득
- 총 1300억원을 투자하여 48㎿ 규모 풍력발전설비를 건설예정
 
[바이오매스 발전]
o 도화엔지니어링은 100MW의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꽝빈성에 건설하기 위한 예비 타당성조사 실시 허가를 2016년 7월 획득
- 스크랩우드(scrap wood)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100MW급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꽝빈 성의 중앙부에 건설하는 4억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2018년 착공,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함

□ 첨부 2: 연도별 베트남 발전(Power) 프로젝트

< 2017년 발전(Power) 프로젝트 >
프로젝트명
형태
발전용량(MW)
주요 계약자
1
ChiKhe
Hydropower
41
IPP
2
Long To
Hydropower
42
IPP
3
Trung Sn #3,4
Hydropower
2x65
EVN
4
Yen Sn
Hydropower
70
Binh Minh Constrution and Tourism Joint-Venture Company
5
Tra Khuc 1
Hydropower
36
IPP
6
Sekaman Xanxay (Laos)
Hydropower
32
Vit Laos Power Joint Venture Company
7
Thac M (Expansion)
Hydropower
75
EVN
8
Thai Binh I #1,2
Thermal Power
2x300
EVN
9
Thai Binh II #1
Thermal Power
600
PVN
10
Duyen Hi III#2
Thermal Power
600
EVN
11
Long Sn Petrochemical Thermal Power #1
Thermal Power
75
IPP
12
An Khe #1
Biomass
55
Quang Ngai Sugar Company
13
Other
Renewable Energy
360

< 2018년 발전(Power) 프로젝트 >
프로젝트명
형태
발전용량(MW)
주요 계약자
1
Lo River 6
Hydropower
44
Xuan Thin Ha Giang
2
Hi Xuan
Hydropower
102
IPP
3
Min River 4
Hydropower
38
IPP
4
La Ngau
Hydropower
36
La Ngau Hydropower
5
đk Mi 1
Hydropower
54
IPP
6
đa Nhim (Expansion)
Hydropower
100
EVN
7
Sekaman 4 (Laos)
Hydropower
80
Vit Laos Power
8
A Lin
Hydropower
62
IPP
9
Thng Long #1
Thermal Power
300
Thang Long Thermal Power
10
Thai Binh II #2
Thermal Power
600
PVN
11
Vnh Tan IV #1,2
Thermal Power
2x600
EVN
12
Long Phu I #1
Thermal Power
600
PVN
13
Long Sn Petrochemical Thermal Power #2,3
Thermal Power
2x75
IPP
14
KCP #2
Biomass
30
IPP (Phu Yen)
15
An Khe #2
Biomass
55
Quang Ngai Sugar
16
Lee&Man
Biomass
125
Lee & Man Vietnam
17
Khai Long
(Ca Mau)
Wind
100
Cong Ly Construction, Commercial, Tourism Company
18
Bac Lieu #3
Wind
142
Cong Ly Construction, Commercial, Tourism Company
19
Other
Renewable Energy
520

< 2019년 발전(Power) 프로젝트 > 
프로젝트명
형태
발전용량(MW)
주요 계약자
1
Bo Lam 3
Hydropower
46
IPP
2
Pc Ma
Hydropower
140
Pc Ma Hydropower Company
3
Thng Kon Tum #1,2
Hydropower
2x110
EVN
4
Thng Long #2
Thermal Power
300
Thng Long Thermal Power
5
Hi Ha 1
Thermal Power
3x50
IPP
6
Na Dng II
Thermal Power
110
Vinacomin
7
Long Phu I #2
Thermal Power
600
PVN
8
Hu River I #1,2
Thermal Power
2x600
PVN
9
Duyen Hi III (Expansion)
Thermal Power
660
EVN
10
Vnh Tan I #1,2
Thermal Power
2x600
CSG - CPIH - Vinacomin (BOT)
11
Vnh Tan IV (Expansion)
Thermal Power
600
EVN
12
Nm Cum 1,4,5
Small hydropower
65
IPP
13
Trung - Nam
Wind
90
IPP (Ninh Thun)
14
Soc Trng
Wind
99
Cong Ly Construction, Commercial, Tourism Company
15
Thien Tan I
Solar
300
IPP (Ninh Thun)
16
Other
Renewable Energy
450
 
< 2020년 발전(Power) 프로젝트 >
프로젝트명
형태
발전용량(MW)
주요 계약자
1
Nm Pan 5
Hydropower
35
IPP
2
Nm Mo
Hydropower
95
IPP
3
Ialy (Expansion)
Hydropower
360
EVN
4
Formosa Ha Tnh #6,7
Thermal Power
2x150
IPP - coal
5
Formosa Ha Tnh #8,9
Thermal Power
2x100
IPP
6
Formosa Ha Tnh #10
Thermal Power
150
IPP - coal
7
Hi Dng #1
Thermal Power
600
Jaks Resources Bhd (BOT)
8
Cm Ph III #1,2
Thermal Power
2x220
Vinacomin
9
Cong Thanh
Thermal Power
600
Cong Thanh Thermal Power Company
10
O Mon III
Gas Turbine
750
EVN
11
Nm Cum 2,3,6
Small Hydropower
54
IPP
12
Hanbaram
Wind
117
IPP
13
ThienTan2
Solar
400
IPP (Ninh Thun)
14
Other
Renewable Energy
470
출처: Power Development Plan, 2016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