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미국 홍역 확진자 800명 중 96%가 무접종자입니다. 5–19세(38%), 5세 미만(31%) 유아 입원율 19%를 기록한 이번 대유행의 원인과 접종률 회복·면제 개혁·허위정보 차단 등 4대 대응 전략을 전문가 관점에서 정리했습니다.
2025년 4월 18일 기준 CDC 집계에 따르면, 올해 미국 내 홍역 확진자는 800명에 달하며, 사망자는 3명(텍사스·뉴멕시코 각 2명, 어른 1명)으로 2000년 ‘박멸 선언’ 이후 최악의 단일 대유행을 기록 중입니다 질병통제예방센터. 감염자 중 **96%**가 백신 접종력 미확인 또는 무접종이며, 단일·두 회 접종자는 각각 1%·2%에 불과합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1. 연령별 분포
- 5–19세: 304건(38%)
- 5세 미만: 249건(31%)
- 성인(20세 이상): 231건(29%)
- 미확인: 16건(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특히, 5세 미만 유아는 감염 시 **19%**가 입원(47/249) ContagionLive, 20%가 입원이 필요한 심각도를 보입니다.
2. 재유행 배경
- 접종률 하락
- 2024~25년 간 유치원생 2회 접종률이 95% 아래로 떨어지며 집단면역 붕괴 위험 증대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 비의학적 면제 증가
- 전국적으로 학부모 비의학적 면제 비율이 5%대로 올라, 일부 지역(텍사스 게인스 카운티 12%↑)에서 집단감염 발발 Houston Chronicle.
- 허위정보 확산
- SNS·유튜브를 통해 “MMR 자폐 유발” 등 과학적 근거 없는 주장이 번지며, 부모 설문에서 최대 35%가 이러한 허위주장을 ‘진실’로 인식 Wikipedia.
3. 전문가 권고: “4대 집중 대응 전략”
대응 영역주요 과제
1. 접종률 회복 | • 미접종 아동 대상 긴급 백신 캠페인, 이동접종 버스 운영 • 학교 입학 전 백신 기록 의무 확인 강화 |
2. 면제 제도 개혁 | • 비의학적 면제 요건 강화(의사 소견서·공공보건 교육 이수 등) • 비의학적 면제 허용 범위 축소 |
3. 허위정보 차단 | • 주요 플랫폼에 백신 팩트체크 AI 필터링 도입 • 공신력 있는 백신 정보 검색 우선순위 보장 |
4. 지역사회 협력 | • 보건소·학교·종교기관 연계 홍역 예방 워크숍·공청회 개최 • 커뮤니티 리더·맘카페 대상 교육 프로그램 |
“홍역은 백신으로 97% 예방 가능한 질병입니다. 과학적 사실에 입각해 접종 격차를 메우지 못한다면, 어린이 생명과 공중보건 안전망 모두 위태로워집니다.”
728x90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프랑스 할랄 식품 시장 회복세! 삼계탕과 만두, 지금이 진출 적기 (0) | 2025.05.20 |
---|---|
허위정보가 부른 재앙: 미국 홍역 오해·백신 거부 실태와 대응 전략 (0) | 2025.05.20 |
🍫 브라질, 이제 ‘한 끼’가 아닌 ‘한 조각’이다 – 간식 시장의 기회 (0) | 2025.05.19 |
4억 넣고 510억 회수”…아세아 3세들의 삼봉개발 ‘캐시카우’ 전략 (2) | 2025.05.19 |
“시밀러 vs 신약” 1분기 성적 갈랐다…K-바이오 승자 공식 3가지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