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음식물 쓰레기 감축을 위해 유통기한 표시 개정과 상거래 관행 재편에 나섰습니다. '1/3 룰' 완화, 포장 기술 혁신, 소비자 인식 개선 등을 중심으로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세요.
📌 배경: 왜 지금 일본은 음식물 쓰레기에 주목했을까?
2025년부터 일본에서는 '식품재활용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5개년 기본방침이 본격 시행되며, 연간 236만 톤에 달하는 외식업체·유통업체의 음식물 쓰레기를 적극 감축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일본 전체 음식물 쓰레기의 절반에 해당하며, 이미 2030년 감축 목표를 2022년에 조기 달성했음에도 정부는 '더 나아가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상미기한·소비기한 표시 개정: '0.8 룰'의 재해석
일본의 식품 유통에서는 소비기한을 실제 섭취 가능 기간의 0.8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관행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소비자청 조사 결과, 일부 사업자가 과도하게 짧은 상미기한을 설정함으로써 조기 폐기가 유발된다는 문제가 드러났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레토르트, 통조림 등 안전성이 확보된 식품은 안전계수 적용을 생략해도 된다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상미기한 연장을 공식적으로 유도하고 있습니다.
🛍️ 유통 구조 혁신: '1/3 룰' 재검토
일본 유통시장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되어온 ‘1/3 룰’. 제조일로부터 유통기한의 1/3 안에만 출하가 가능하다는 관행은, 기한을 넘긴 제품을 폐기하게 만드는 비효율적 구조였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기업과 소비자가 출하 기준의 유연화와 함께 기한 임박 식품에 대한 소비 인식 제고 캠페인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기한 임박은 불량이 아니라 할인 찬스”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는 셈입니다.
🧪 기술적 대응: 포장 혁신과 MAP 기술 도입
일본 기업들은 포장 기술을 통한 소비기한 연장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 MAP(가스치환 포장)을 도입할 경우 식품의 소비기한을 1~3일 연장 가능
- 진공포장 기술은 육류·생선류 등의 소비기한을 2~3배 연장
- 결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5~30%까지 줄이는 효과
이는 단순한 낭비 방지를 넘어, 식품 제조업체의 매출 증대와 ESG 경영 실현이라는 이중의 이익을 가져옵니다.
🧠 소비자 교육과 ‘STENAI’ 프로젝트
식품회사 메이지(明治)는 'STENAI Factory'라는 이름의 팝업스토어를 열고, 상미기한 임박 제품 판매 캠페인을 통해 소비자의 인식을 전환하는 시도를 했습니다.
“상미기한은 '맛있는 시점'이지, '먹으면 안 되는 날'이 아닙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단지 마케팅을 넘어, 소비 패턴과 유통 구조 자체를 바꾸는 촉매가 되고 있습니다.
🔍 시사점: 한국과 글로벌 식품산업이 배워야 할 점
- 소비기한 제도의 과학적 재정비는 음식물 쓰레기 감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 출하 관행 개선(1/3 룰 재검토)은 유통·제조업계의 비용을 줄이고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
- MAP, 진공포장 기술과 같은 포장 혁신은 제조업체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실질적 수단이다.
- ESG 경영이 단순한 구호가 아닌, 식품 생산·유통 전체의 구조적 혁신과 맞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 결론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더 이상 도덕적 선택의 문제가 아닙니다. 기술적, 제도적, 문화적 접근이 통합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일본 사례는 단순 감축이 아닌, 순환경제의 출발점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다루는 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키워드
일본 음식물 쓰레기, 식품재활용법, 상미기한, 소비기한, 1/3 룰, MAP 포장, 식품 유통 구조, 지속가능 식품, ESG 경영, 유통기한 표시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중국 외식시장의 신성장 키워드 ‘바+’ 전략, 한국 식음료 업계 기회 될까? (1) | 2025.05.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