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국, '상호관세'라는 새로운 무역 규칙을 꺼내 들다.
베트남이 맞닥뜨린 경제 충격과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전략적 협상 전개를 짚어봅니다.
트럼프의 귀환, 그리고 '상호관세'의 등장
2025년 4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대부분의 무역 상대국에 대해 자국의 무역적자 비율을 반영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를 일방적으로 부과했습니다. 베트남의 경우, 미국에 대한 무역흑자율을 반영해 무려 46%의 관세율이 적용되었습니다. 이는 미-베트남 간 연간 약 1,200억 달러 규모의 무역 중 약 7~7.5%의 베트남 GDP에 해당하는 영향을 줄 수 있는 초대형 충격입니다.
베트남의 긴급 대응: 통화와 협상
관세 발표 이틀 만에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총비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며, 베트남은 미국산 제품에 0% 수입세 적용 협상 의지를 표명했고, 상호호혜 원칙을 강조하며 미국도 관세 철회를 고려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미국은 2025년 4월 9일,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는 90일간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하며 협상 여지를 열어두었습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은 경제부총리를 단장으로 한 사절단을 미국에 파견하여 양국 관세 협상 공식 개시에 성공했습니다.
위기 속의 전략: 시장 다변화와 미국과의 협력
베트남은 다음과 같은 복합 전략을 통해 이 위기를 돌파하려 하고 있습니다:
- 정부결의안 73/2025/NĐ-CP 발표: 총 13개 품목에 대해 관세 인하 시행.
- 미국기업 유치 확대: SpaceX의 Starlink 위성인터넷 서비스 도입 허용 등, 디지털 인프라 협력 확대.
- 미국산 수입 확대 전략: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기 위한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
시사점: 한국 기업에 주는 메시지
이번 상호관세 조치와 베트남의 대응은 글로벌 밸류체인 재편과 무역 리스크 관리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집니다. 특히 한국 기업은 다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 FTA 활용도 극대화: 이미 체결된 한국-베트남 FTA를 활용한 베트남 시장 확대.
- 원산지 검증 철저화: 미-베 관세 협상에서 한국산 제품의 우회 수출 리스크 사전 차단.
- 미국 우호적 기업 이미지 구축: 한국-베트남 협력 관계 속, 미국에 신뢰받는 중재자 역할 가능.
결론
베트남은 상호관세라는 돌발 변수 앞에서 빠른 외교적 대응과 전략적 유연성으로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국 또한 글로벌 무역 환경의 리스크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적 사고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키워드
상호관세, 트럼프 2025, 베트남 수출, 베트남 미국 무역, 베트남 관세 대응, 미국 무역정책, 글로벌 공급망, 무역 전쟁, 관세 유예, 베트남 경제정책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감자빵부터 베이글까지! 일본을 사로잡은 '한국발 트렌드' (0) | 2025.05.12 |
---|---|
전 세계 군사비 2.7조 달러 육박…유럽·중동·아시아 급등 (1992–2024) (0) | 2025.05.12 |
🌍 2025년 GCC 한국 장류 수출 현황 – 간장 강세, 된장·고추장은 숙제? (1) | 2025.05.12 |
파리 아시안 식료품점 완전 분석 – K-푸드 유럽 진출의 교두보 (0) | 2025.05.12 |
🍦2025 미국 아이스크림 트렌드 총정리 – 식감, 건강, 팬덤, 미니 사이즈까지!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