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1644 서브웨이(SUBWAY) 샌드위치, 베트남에서 성공할까? 서브웨이, 베트남에서 팔릴까? 2017-04-14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서브웨이, 베트남 시장 확장 시도... 하지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부정적 전망 예측 - - 우리 기업들 베트남 시장 진출 시 서브웨이 사례 반면교사 삼아야 - □ 글로벌 샌드위치 브랜드 서브웨이(SUBWAY), 베트남 사업 확장 시도 ㅇ 서브웨이, 호찌민에서 프랜차이즈 파트너 리크루트 행사 열어 - 도시화, 산업화 가속에 따라 베트남인들의 라이프 스타일도 더 바빠지고 현대화되고 있음. 자연스레 베트남 패스트푸드 시장도 확대 중 - 세계 최대 샌드위치 프랜차이즈 브랜드 서브웨이(SUBWAY) 역시 베트남의 패스트푸드 수요 확대에 따른 기회를 잡기 위해 2011년 현지의 IFB Holdings사와 손잡고 베트남에 진출한바 있음. .. 2017. 4. 18. 베트남에서 식당 또는 교육 관련 프랜차이즈 법인 설립 출처: 호치민 무역관 김찬영 투자전문위원/변호사 Q: 외국인이 베트남에서 식당 혹은 교육 관련 프랜차이즈가 가능한가요? 그리고 현재 베트남 내 설립된 프랜차이즈 업체 현황을 알고 싶습니다. A: 식당은 현재 WTO양허안 상 100% 외국인투자회사 설립이 허용되어 있으나, 교육 관련 사업은 구체적인 사업 내용에 따라 허가 가부가 다를 수 있습니다. 원칙적으로는 보습학원, 직업학원(컴퓨터 학원 등)은 일정 요건을 갖추면 허가가 가능할 수 있고, 교육서적 출판 등은 불가능합니다. 교육 관련 업종은 교육법인설립 외에도 교육부 인증 등 까다로운 추가 절차가 있고, 상당한 허가 기간을 요하나(신규 신청부터 영업 개시까지 1년 정도 걸리는 경우도 있음), 실제로 허가를 받은 사례가 꽤 있습니다. 프랜차이즈는 법인 설.. 2017. 3. 2. 2016년도 베트남 철강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 베트남 철강시장 동향과 전망 - 성장 중인 베트남 철강 산업, 하지만 비계획적 생산으로 무역적자 폭은 확대 - - 변칙적 방법 동원된 수입 증가… 철강재에 대한 수입규제 강화 우려 - □ 2016년 베트남 철강시장 동향 ㅇ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철강재 가격도 잇따라 인상 - 2016년, 중국, 브라질 등 주요 원자재 수출국의 공급량 감축 전망과 함께 철광석, 코크스, 고철 등의 원자재 가격이 큰 폭 상승함. 강괴, HRC 등 철강 반제품과 완제품 가격도 일정한 시차를 두고 인상됐으며, 인상폭은 철광석 가격의 오름폭과 비슷한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남. ㅇ 철강재 생산∙소비 모두 2015년 대비 증가 - 베트남 철강협회(이하 VSA)가 추산한 2016년 베트남의 강재 생산량은 총 1750만 톤으로 전년대비 .. 2017. 3. 2. [긴급] 삼성 베트남 폭동현장 영상 8개 속보 : 베트남의 삼성전자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경비업체 직원이 베트남인을 구타했다가, 베트남 노동자 수천명이 한국인 직원들(수백명)을 구타해서 최소 1명은 사망. 평소 쌓인 것이 있어서일텐데, 베트남 특성상 한국 교민들 전체가 긴장해야 할듯.. 2017. 2. 28. 2017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Top 50' 에 대해 알아볼까요 미국의 포춘지가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50 (World's Most Admired Companies for 2017)' 을 발표하였습니다. 올해도 1위는 역시나 애플(Apple)이 차지했습니다. 벌써 10년 연속 1위네요. 애플의 CEO인 팀 쿡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CEO’ 에도 이름을 올렸습니다. 2위는 아마존(Amazon), 3위는 스타벅스(Starbucks)가 차지했습니다. 50위에 선정된 업체들을 쭉 확인해 보았으나, 한국 기업은 단 한 곳도 없네요. 작년 35위를 차지했던 삼성도 올해는 아쉽게 탈락했습니다. 삼성은 2009년부터 2016년까지 8년 연속 50위권안에 있었으나, 올해는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결함 등이 탈락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 같습니다. 어떤 업체들이 랭크되어 .. 2017. 2. 17. 집에서도 가능한 베트남 전자비자(e-visa)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현재 대한민국 국민이 베트남에 방문할 경우 무비자로 15일간 체류가 가능하나, 15일 이상 체류를 원할 시에는 별도로 비자를 발급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지난 1월 25일 베트남 정부가 전자비자(e-visa)에 대한 내용을 공포함으로써, 2월 1일 부터 간단한 사전절차와 저렴한 비용으로 30일 단수비자 발급이 가능해 졌습니다. 비자 발급을 원하시는 경우 https://www.immigration.gov.vn 사이트에 접속여권의 신원정보면과 증명사진을 업로드하고 이름, 국적, 종교, 직업 등 15개 항목을 작성 비용(미화 25달러) 결제 하고 나면, 3영업일 이내에 30일 단수 비자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전자비자 신청제도는 대한민국, 미국, 일본, 러시아 등 40개 국가의 국민을 대상.. 2017. 2. 14.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27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