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644

사례로 배우는 베트남 통상 분쟁 대응법 출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의 통상 마찰 사례 1: 베트남-중국 ㅇ (개요 및 배경) 2014년 5월 양국 간 영토권 문제 발발 - 2014년 5월 초, 중국은 파라셀제도 인근에 석유 시추 장치 설치를 강행함. 파라셀제도는 베트남명 황사군도(Huong sa Quan dao), 중국명은 시사군도(西沙群島)로서 중국과 베트남 간 주요 영토 분쟁지역 중 하나임. - 베트남은 자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이뤄지는 중국의 원유 시추가 불법이라고 즉각 반발했으며, 중국 역시 시사군도는 중국의 고유한 영토라고 맞받아침. - 이후, 베트남 시·성 전역에 걸쳐 베트남 국민들의 반중시위가 발생함. 특히 베트남 남부 빈증성, 동나이성, 호찌민시, 그리고 베트남 중북부에 위치한 하띤성에서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 2017. 5. 31.
베트남에서 SNS와 비지니스 관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출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소셜 미디어(SNS) 파급 효과는Facebook, Youtube에 집중- 공식 집계에 기록되지 않는 SNS 전자상거래, 실질적인 수요·공급 관찰 기회 □ 베트남 미디어 소비의 중심, 온라인 플랫폼 ㅇ 베트남의 최대 온라인 미디어 플랫폼은 Facebook과 Youtube - 영국의 소셜 미디어 조사 업체 We Are Social의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인터넷 인구는 5000만 명 이상으로 전체 인구(9490만 명) 중 절반 이상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2016년 5월 베트남 대도시에 거주하는 만 15~54세의 현지인 57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의 주요 인터넷 사용 목적은 온라인 뉴스(80%)와 소셜 네트워크(80%)였음(자료.. 2017. 5. 31.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베트남 물류산업 동향 및 전망에 대해 알아봅시다 출처: 무역협회 호치민지부 1. 성장하는 베트남 물류산업 □ 산업 규모 및 성장률 o ’11-’15년, 베트남 항만시스템 규모는 연간 10.2%씩 확대되는 등 高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 ‘15년 베트남의 총 컨테이너 운송량은 11,221,839 TEU에 달했는데, 남부항만이 전체 컨테이너 운송량의 70.5%를, 북부항만이 25.9%, 중부항만이 3.6%를 처리 o ’15년 화물운송량은 11억 34백만톤에 달했고, ’11-’15년 연평균성장률은 7%를 기록했음 - 구체적으로, 내륙 운송은 77.1%, 내륙수로 운송은 17.2%, 해로 운송은 5.2%, 철도 운송은 0.6% 성장함 o ’20년부터 물류 서비스업 규모는 매년 24-25% 성장하여 GDP의 1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 운송수단별 현황 o.. 2017. 5. 30.
베트남 섬유의류 산업 동향 및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봅시다. (공급사슬 경쟁력 분석) 출처: 무역협회 호치민지부 □ (성장률) 베트남 섬유·의류 수출은 ’11-’16년 연평균성장률 13.8%를 기록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임 o 미국이 가장 큰 수출시장이며, EU, 일본, 한국이 그 뒤를 잇고 있음 □ (시장 현황) 경쟁기업이 섬유·의류분야에 진입이 수월하지만 시장이 이미 포화상태이며 기타 수출국의 압박으로 경쟁이 점차 심화되고 있음 o 글로벌 경제의 위축, 라오스 및 캄보디아와의 경쟁 심화, 불안정한 환율 그리고 최소임금 상향 조정 등이 최근 섬유·의류시장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섬유·의류 산업은 젊고 유능한 노동력, 정부 지원 및 수출시장에서의 안정적 입지 등 장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 현지진출 한국.. 2017. 5. 30.
베트남 전략시장 현황 및 공략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출처: 무역협회 호치민지부 《 요 약 》 □ 우리기업들은 가파르게 성장하는 베트남 전력시장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 o 베트남 전력은 성장단계에 있는 산업으로, ’12년부터 ’16년까지 베트남 전기 수요는 매년 8.7%씩 성장 - 베트남 전력산업의 성장세는 유가, 환율 변동 및 기후에 따라서 유동적일 것으로 보이나, ’16년부터 ’20년까지 베트남 전력산업 평균성장률은 10.3%-11.3%에 달하는 등 그 성장세가 빨라질 전망 ※ 베트남 전력생산 비중: 수력(36.59%), 석탄(36.29%), 가스(25.7%) □ 베트남 정부는 전력소비 증가에 따라 발전설비량 목표도 크게 확대할 계획임. 특히, 향후 高성장이 예상되는 화력(Thermal) 발전에서 우리기업과의 협력과 진출을 가속화활 필.. 2017. 5. 29.
최근 캄보디아 경제 동향 및 전망에 대해 알아봅시다 □ 요약 o 세계은행(World Bank)은 캄보디아 ’16년 경제성장률을 7.0%로 전망함 o (섬유 및 의류) 섬유 및 의류 수출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16년 상반기 수출액이 전년 동기대비 10.5%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 경제 성장의 발판이 되고 있음 o (건설) ’15년 건설부문 프로젝트는 33억 달러를 기록한데 반해, ‘16년 상반기 프로젝트는 68억 달러가 정부승인을 받아, 전년 동기대비 큰 폭으로 성장함 o (관광) ‘16년 관광객 증가률이 전년 대비 2%포인트 감소한 2.6% 증가에 그쳐 주요 산업인 관광 부문은 다소 주춤함o (농업) ’16년 초 가뭄으로 인해 농업 부문은 ‘15년 대비 미미한 성장에 그쳤지만, 쌀 수출액은 전년 대비 1.. 2017. 5.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