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캄보디아4

캄보디아, 한국 포도의 진출 전략 ▶ 성장하는 캄보디아 포도 시장의 가능성 - 캄보디아 구매력평가지수는 최근 5년 간 연 평균 약 40억 달러 성장하여 2017년 기준 601억달러 육박 - 구매력이 증가함에 따라 과일 시장도 2016년 이래로 전년대비 판매증가율 6%로 유지 - BMI 리서치에 따르면 연간 과일 판매량은 2019-2022년 동안 연평균 7.8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과일 시장 규모의 지속적인 성장 예상 ▶ 신선 포도 국가별 수입 현황 - 전체 포도 수입액은 최근 5년 간 감소하였는데, 주요 수입국으로부터의 수입 대폭 감소가 주 원인 - 주 수입국은 비중 순으로 미국, 싱가폴, 남아프리카, 호주 등 - 미국과 싱가폴에서의 수입액은 최근 5년 동안 현저히 감소한 반면 한국, 호주 등에서의 수입액은 증가 추세 - 한국에서의.. 2019. 7. 4.
캄보디아 은행 부문 동향 □ 캄보디아 은행 부문의 개요 ○ 규모 - 캄보디아 증권 시장은 아직 여명기이며 채권 시장은 존재하지 않음. 주식 시장도 유일한 증권거래소인 캄보디아 증권거래소(2011년 2월 설립)에 겨우 2사가 상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단계임. 따라서 캄보디아의 공식 자금조달 수단은 은행 혹은 마이크로 파이넌스가 다루는 여신 거래에 한정됨. - 은행 여신은 2000년대 중반 이후 경제 확대에 따른 예금 증가, 자금 수요 증가, 은행 수 증가 등과 함께 급격히 확대됨. 2006년 말부터 2012년 말까지 은행 여신은 연간 37% 증가함. ○ 구성 - 2012년 말 시점에 은행 부문의 중심적 존재를 담당하는 상업은행은 32행 존재함. 원래 캄보디아 은행 부문은 매우 느슨한 외자 규제를 배경으로 외국 자본의 존재가 큰 것이.. 2015. 6. 4.
캄보디아 스마트 폰 시장 현황 ○ 일반 현황 - 캄보디아 스마트 폰 시장은 호황을 누리고 있으나 ‘14년 초 낮은 성장 수치를 보임 · ‘13년, 캄보디아 스마트 폰 시장은 매출액에서 전년비 38%, 판매 대수면 에서는 전년비 42% 증가 · ‘14년 1/4분기 성장률은 10% - ‘13년, 시장 조사기관인 GfK의 조사에 따르면, 캄보디아에서 907,000개의 스마트 폰이 판매되었으며 금액으로는 3억 달러 이상 · 캄보디아 내 총 핸드폰 이용자(약 2천만 명) 중 절반 이상이 스마트 폰 이용 - 캄보디아 스마트 폰 출고가는 100달러이상이기 때문에 중상층에게 인기가 높음 · 스마트 폰 대금 할부방식이 캄보디아 국민의 스마트 폰 구매를 촉진 ○ 스마트 폰 기업 현황 - 삼성은 캄보디아 스마트 폰 시장에서 장기간 선두 기업을 유지했으며.. 2014. 12. 23.
캄보디아 국가보고 I. 일반현황 II. 건설시장 환경 III. 외국기업 진출환경 IV. 한국업체 투자동향 V. 한국 건설회사 진출현황 Ⅵ. 진출전망 2008.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