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영국 외식 산업과 런던 프랜차이즈 쇼, K-푸드에게 열린 기회

by 감성리뷰어🎤 2025. 5. 13.
반응형

영국 외식 산업이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2025 런던 프랜차이즈 쇼에서 K-푸드 브랜드들이 주목받았습니다.

외식 트렌드와 한식 진출 전략을 살펴봅니다.


영국의 외식 산업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완전한 회복은 아직 이르지만 서서히 기지개를 펴고 있습니다.
레스토랑은 줄고, 패스트푸드와 저가 외식의 인기는 상승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한국식 치킨, 김밥, 분식류는 영국 소비자에게 점점 더 일상적인 음식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열린 2025 런던 국제 프랜차이즈 쇼
K-푸드의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 영국 외식 시장 현황 (2024 기준)

전체 외식업체 수 157,619개
전체 거래 규모 54억 6,230만 파운드
레스토랑 수 26,614개 (2019년 대비 감소)
패스트푸드점 수 55,070개 (소폭 증가)
 

📌 물가 상승 → 외식 빈도는 줄고, 1회 지출은 증가
📌 패스트푸드의 다변화, 멤버십 전략 강화가 경쟁력 핵심


🐓 K-푸드, 영국 외식 시장에서의 존재감은?

  • 김밥·떡볶이 등 분식류가 인지도 상위
  • 전통 한식보다는 조리 간편·접근 쉬운 메뉴가 주류
  • 다품목 한식당 위주 → 단일 품목 전문점은 드뭄

👉 메뉴 다변화와 함께 K-푸드 정체성 + 영국 소비자 입맛을 고려한 조정 전략 필요


🎪 2025 런던 국제 프랜차이즈 쇼 (IFS London)

  • 개최일: 2025년 4월 11~12일
  • 참가 업체: 약 250개 (맥도날드, 웬디스, 본촌 등 포함)
  • aT 한국관 운영: 피자, 치킨, 김밥, 커피 브랜드 4곳 참가
  • 상담 건수: 총 104건
  • MOU 체결: K-치킨 브랜드, 15만 달러 규모 성사
  • 시식 행사: 꼬마김밥·식혜 400인분, 매회 완판!

📸 본촌, 파리바게트는 개별 부스로도 참여해 브랜드 영향력 과시


🔎 시사점 – 유럽 K-푸드 외식 전략은 이렇게

✅ 전략 1: “콘텐츠 노출 메뉴”를 입점 1순위로

한국식 치킨 드라마·예능 노출 빈도 ↑, 경쟁 상대는 미국 브랜드
꼬마김밥 한 손 간식, 채식 대응 가능
떡볶이 영국 소비자에게 이색적이면서도 접근 쉬운 매운맛
 

🎯 "한류에 익숙하지만 아직 현지화되지 않은 메뉴" = 기회


✅ 전략 2: 채식·무글루텐 등 ‘다문화 소비’를 고려해야 (Statista, 2024)

비건 3%
채식주의자 8%
플렉시테리언 11%
무탄수·저탄수 11%
글루텐프리 7%
락토프리 7%
 

📌 부각, 장아찌, 나물반찬 등 식물성 찬품류 수출 확대 필요
📌 고추장·된장 등 양념류 + 비건 레시피 콘텐츠와 함께 제안


K-푸드 브랜드에게 주는 제언

제품 구성 조리 간단 + 하이브리드 콘셉트 (ex. 비건 떡갈비)
유통 전략 오프라인 입점 + 프랜차이즈 가맹 + 팝업 매장 테스트
마케팅 K-콘텐츠 연계, 식음료 시식, 런던 로컬 인플루언서 활용
시그니처 메뉴화 꼬마김밥, 양념치킨, 떡볶이 등 직관적이고 SNS 친화적 메뉴 개발
 

🧠 결론: 영국 외식 시장에서 K-푸드는 이제 선택이 아닌 기회다

  • 물가 상승 → 가성비+경험 중심의 외식 브랜드에 눈길
  • 한국 외식 브랜드는 한류 콘텐츠와 맞물린 소비 감성으로 유럽 시장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 중
  • 프랜차이즈 쇼와 같은 B2B 박람회 참여는 시장 진출 전 사전 테스트베드 역할 가능

✅ "지금이 바로, 유럽식 트렌드에 한국식 감성을 입힐 순간입니다."


🔑 키워드

영국외식시장, 런던프랜차이즈쇼, 한식영국진출, 영국외식트렌드, 김밥수출, 한국식치킨, 영국프랜차이즈진출, 유럽한류식품, 비건한식, 꼬마김밥런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