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22

유럽·중동 군사비 지출 급증…세계 지역별 군사비 동향 (1992–2024) 1992년부터 2024년까지 세계 주요 지역별 군사비 지출 변화를 SIPRI 자료로 살펴봤습니다. 북미·아시아·유럽·중동 등 지역별 추이와 안보 환경 변화를 한눈에 확인하세요!– SIPRI(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 자료 기반, 2023년 달러 기준1. 차트 개요지표: 상수(2023년) 미 달러 기준 10억 단위기간: 1992년–2024년지역: 북미, 서유럽, 동·중앙유럽, 아시아·오세아니아, 중동, 라틴아메리카·카리브, 아프리카출처: SIPRI2. 2024년 주요 수치지역군사비 지출액 (2023불 기준, 10억 달러)북미 (미국·캐나다)1,000아시아·오세아니아640서유럽380동·중앙유럽300중동250라틴아메리카·카리브70아프리카403. 연도별 주요 트렌드북미의 지배적 지위2000년대 이후 1조 달러 안팎.. 2025. 5. 11.
EU 관광업계 노동력 비밀 공개! 여성·청년·비시민 취업 현황 파헤치기 EU 27개국의 2023년 관광·숙박업 노동력을 서비스업과 비교 분석한 결과, 놀랍게도 여성 비율(관광 58%·숙박 59%)이 높고, 15~24세 청년층 취업 비율도 다른 산업에 비해 크게 앞섰습니다. 반면 숙박업 비시민 고용 비중도 18%로 여전한데요. 단기·비정규직 비율, 학력별·국적별 차이까지 한눈에 살펴보세요. 1. 성별 고용 격차여성 비율: 서비스 41% vs 관광 58% vs 숙박 59%남성 비율: 서비스 59% vs 관광 42% vs 숙박 41%2. 근무 형태 비교파트타임: 서비스 20% vs 관광 21% vs 숙박 22%풀타임: 서비스 80% vs 관광 79% vs 숙박 78%3. 청년층 취업 현황15~24세: 서비스 9% vs 관광 11% vs 숙박 12%25세 이상: 서비스 91% vs.. 2025. 5. 10.
온라인 쇼핑 반품 1위는 ‘의류·신발’ 미국 성인 9,778명 설문 결과, 지난 1년간 온라인 반품 1위는 의류(25%), 2위는 신발(17%)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이즈·유통 문제를 줄이는 쇼핑·반품 팁을 확인해 보세요!– Statista Consumer Insights(2024년 4월–2025년 3월, 성인 9,778명)1. 조사 개요대상: 미국 성인 9,778명(18–64세)기간: 2024년 4월~2025년 3월문항: 지난 12개월 내 온라인 구매 후 반품 경험 품목(복수 선택)출처: Statista Consumer Insights2. 반품 품목별 비율순위품목반품 경험률1의류(Clothing)25%2신발(Shoes)17%3액세서리(Accessories)12%4식음료(Food & beverages)12%5가전제품(Consumer electr.. 2025. 5. 10.
유급 8305명, 제적 46명… 의대 사태의 다음 국면이 시작됐다 “2학년 올라가지 못한 8000명, 의대는 지금 구조적 혼란을 겪고 있다.”전국 40개 의과대학이 교육부에 유급자 8305명, 제적자 46명을 공식 통보했습니다.전체 의대 재학생 1만9475명 중 약 43%가 진급하지 못하는 초유의 상황입니다.이는 단순한 학사 처리 이상의, 의대 교육 구조 재편과 의료인력 수급 문제에 직결된 사안입니다.📊 1. 유급·제적 통계 정리재학생 총원1만9475명100%유급 확정8305명42.6%제적 확정46명0.2%수업 참여 가능 인원6708명34.4%예과 성적경고 예상 인원3027명15.5%1과목만 수강 등록자1389명7.1%예과 학생 (복귀 가능 대상)3650명2학기 복귀 가능사실상 1학기 수업을 정상적으로 이수하는 학생은 전체의 1/3 수준에 불과🧠 2. 왜 이런 일이.. 2025. 5. 10.
“가맹점주도 브랜드다” – 더본코리아 300억 상생안, 백종원의 ‘기업인 선언’ “백종원의 진짜 행보는 지금부터다.”더본코리아가 가맹점주와의 갈등 국면에서총 300억 원 규모의 상생 지원책 확대를 발표했습니다.단순한 재정 투입을 넘어, 구조 혁신·고객 유입 중심 정책 전환이 핵심입니다.💰 1. 기존 50억 → 300억으로 확대, 지원책 무엇이 바뀌었나?💵 지원 규모50억 원 → 300억 원으로 대폭 확대💬 발표 배경점주들의 집단 반발과 간담회 요청로열티 면제식자재 할인신메뉴 마케팅 지원통합 멤버십 혜택 강화브랜드별 공동 프로모션➕ 추가 포인트현장 소통 중심 간담회‘속도감 있는 의사결정 체계’ 구축 지시🧭 2. 왜 지금 백종원은 “가맹점 정책 혁신”을 선언했는가?📉 매출 하락외식 경기 침체 속 가맹점 부담 증가🔁 기존 시스템 한계본사 수익구조 vs 가맹점 손익구조 괴리📣 .. 2025. 5. 10.
누적 1조달러 돌파한 K건설… 2조달러 시대의 열쇠는 ‘거버넌스’다 “반도체, 자동차, 그리고 이제 건설이다.”K건설이 해외 수주 누적 1조달러를 돌파했습니다.반도체·자동차 산업에 이어 세 번째로 1조 클럽에 입성한 산업이라는 점에서단순한 숫자를 넘어 한국 산업 성장의 축이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하지만 2조달러를 목표로 한다면, 이제는 기술력 이상의 전략,즉 ‘고도화’와 ‘거버넌스’ 강화가 필요하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습니다.🧾 1. 누적 1조달러의 의미 – 반세기 도전의 결과최초 수주1965년 태국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98km, 540만달러)누적 기간59년달성 시점2024년의미 한국 건설산업의 글로벌화 상징반도체·자동차에 이은 제3의 수출 주력 산업🔺 주요 기록2010년 연간 수주 716억달러 (역대 최고)2021~2024년 평균 수주액 330억달러 →.. 2025.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