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직장생활3

행복한 직장생활 위한 조언 10가지 美 최대 구인구직사이트 몬스터닷컴의 새해맞이 ‘도움말’들 1. 개인적인 걱정거리를 직장에 가지고 오지 말자. 개인적인 걱정거리를 직장에 가지고 오는 직장인은 행복한 직장 생활을 할 수 없다. 밸런스팀의 공동창업자인 앨리슨 로드스는 “자녀가 응급실로 실려 갈 경우가 생긴다 하더라도 사생활이 직장 내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유의하라”고 따끔하게 말했다. 로드스에 따르면 직장생활에서 사생활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거꾸로 집에 돌아갔을 때 일에서 완벽하게 해방될 수 있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 그러므로 개인적인 걱정은 집에 놔두고 사무실에 들어서야 한다. 그리고 출근 뒤부터는 오로지 일에만 신경을 쓰자. 2. 사무실을 보금자리로 만들자. 직장인들의 하루 근무시간인 8시간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잠자리에 누워 있.. 2009. 2. 23.
직장동료 핸드링 메뉴얼 회사가 다르고 직종이 달라도 고만고만한 사무실 꼴통들은 어디에나 있다. 어떤 유형의 동료냐에 따라 대꾸하는 법, 한 방 먹여주는 법이 모두 다른 법. 우선은 매뉴얼부터 읽어보고 작업을 시작할 것. Type 1 독불장군 독불장군들은 자신이 화가 났을 때 남에게 그 스트레스를 퍼붓는 게 특기다. 늘 불만이 많고 남의 의견을 들으려고 하지 않으며 심지어 성격이 더럽다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독불장군이 가장 즐겨 쓰는 말은 “그건 별로야, 그냥 이걸로 해.” 독불장군: (서류를 가리키며)니 의견은 알겠는데 별로 현실성이 없네. 그냥 다시 해, 지금. 후배직원: 현실성이 있어요, 여기 이건…. 독불장군: 웬 말이 그렇게 많아? 그래서 2시까지 할 수 있겠어? 후배직원: …. 사람들 앞에서 독불장군에게 대드는 것은.. 2008. 10. 16.
네트워크의 함정 어떻게 벗어날까? ▶ 질문 사내 조직 문화에 대해서 관심이 많습니다. 의사소통이 원활하면 일의 능률이 오르고 성과도 좋아질 텐데요. 좋은 사례가 있다면 알려주시고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 ▶ 답변 조직내 네트워크가 경쟁력을 가지려면 열린 협력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해낼 수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열린 협력이란 느슨하게 고리를 맺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로 재구성이 가능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조직들이 작은 성공을 하면서 점점 폐쇄적으로 변해가고 관계는 경직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처럼 닫힌 네트워크는 오히려 발 빠른 변화와 적응을 방해하는 걸림돌이 되는 것이죠. 그런데 문제는 이런 조짐이 겉으로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2007. 10.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