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699

강스템바이오텍, ‘바이오 USA 2025’에서 글로벌 협력 논의 본격화 강스템바이오텍은 '오가노이드'와 '골관절염 치료제'라는 두 축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바이오 스타트업으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술 기반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분기점으로 읽힌다.1. 행사 개요행사명: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BIO USA)일시/장소: 2025년 6월 16일부터 4일간, 미국 보스턴참가 목적: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오스카(OSCA)'의 글로벌 사업화 협의피부 오가노이드 기반 동물대체시험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협상2. 주요 협력 사안🦵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오스카(OSCA)'유럽 정형외과 전문 제약사와의 임상1상 기반 협상 진행 중해당 파트너는 이미 임상3상 경험이 있는 신약개발 전문 기업OSCA의 연골재생 및 통증 .. 2025. 6. 5.
🍻 상사는 소주만 마신다는데… 한국 주류 시장, 대체 뭐가 뭔지 알려줄게요 "야, 소주는 희석식이냐 증류식이냐?"…처음 들었을 땐 그냥 웃겼다. 술이 술이지, 무슨 화학식도 아니고.근데 말이야, 우리 회사 부장님이랑 회식하다 보면 그런 말이 진짜 나온다.그때마다 끄덕이긴 하는데… 속으로는 “대체 그게 뭔데요…?” 하는 사람 나만은 아니겠지?오늘은 한국 주류 시장의 모든 것, 쉽게, 웃기게, 진심으로 알려줄게.술 좋아하는 형들, 그냥 '먹는 것만' 좋아하지 말고 한 번쯤 구조도 알아보자. 그래야 어디 가서도 말이 통하지. 🥃 주류(술)란 대체 뭐냐?일단 '주류'는 술 종류 전반을 말하는 단어인데, 법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돼.알코올 함량이 1도 이상인 음료.그럼 1도 이하인 건? 술 아니다.예: 보리차에 소주 몇 방울 탄 거 = 술 아님(마음은 술임)단! 의료용이나 산업용 알.. 2025. 6. 4.
🚚 태국 배달 플랫폼 ‘푸드판다’ 철수…이제는 Grab vs LINE MAN 시대! 푸드판다 철수로 재편되는 태국 푸드 딜리버리 시장. Grab·LINE MAN 중심 이원화 체계 속에서 K-FOOD 브랜드가 취해야 할 유통 다변화 전략을 제시합니다. 2024년 5월, 태국의 배달 플랫폼 시장에서 중대한 지각변동이 일어났습니다.푸드딜리버리 3강 중 하나였던 푸드판다(Foodpanda)가 태국 시장에서 철수하며,Grab과 LINE MAN Wongnai의 이원화 체제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하지만 이번 변화는 단순한 플랫폼 퇴장을 넘어K-FOOD 포함 식품 브랜드 전체의 유통 전략 재편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태국 배달 시장 개요2024년 시장 규모약 42억 달러 (6조 원)Grab 점유율46%LINE MAN Wongnai 점유율40%푸드판다5월 23일부로 철수 가격 할인 경쟁,.. 2025. 5. 31.
🛒 말레이시아 슈퍼마켓 시장, 프리미엄으로 진화 중 – K-푸드 진출의 교두보가 되다 말레이시아 슈퍼마켓 시장이 프리미엄화 트렌드를 타고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Jaya Grocer, BIG 등 고급 유통망 확산과 한국 식품 브랜드의 진출 기회를 분석합니다.말레이시아 슈퍼마켓 시장이 프리미엄화 바람을 타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2024년 기준 시장 규모는 **73억 링깃(약 1조 9천억 원)**을 돌파했고,2029년까지 연평균 4% 성장, 89억 링깃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Jaya Grocer, Village Grocer, BIG(Ben’s Independent Grocer), The Food Merchant 등고급 식품에 집중하는 슈퍼마켓 체인이 도심 주거지·쇼핑몰 중심으로 공격적인 확장을 이어가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시장 현황 한눈에 보기시장 규모 (2024)7.. 2025. 5. 30.
🐾 4,300만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베트남, K-펫푸드의 수출 기회는? 베트남 펫푸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강아지·고양이 사료 중심의 소비 트렌드와 한국 제품의 진출 기회를 정리합니다. 2025년 현재, 베트남에는 약 3,140만 마리의 반려동물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그리고 2027년까지 그 수는 4,300만 마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이와 함께 펫푸드 시장의 규모도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한국산 펫푸드는 이미 품질과 안전성으로 현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지금이 바로 현지화·채널 확대·마케팅 강화로 브랜드 충성도를 구축할 절호의 타이밍입니다.📊 시장 현황 요약시장 규모8,330만 달러 (+10.5% YoY)2025~2030 성장률연평균 7.8% 예상반려동물 수3,140만 마리주요 품목강아지 사료 (4,880만 달러), 고양이 사료 (3,.. 2025. 5. 29.
🐖 베트남 육류 시장, 고기 좋아하는 국민들이 만든 489만 톤 시장 베트남은 동남아에서 가장 높은 1인당 육류 소비량을 기록하며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한국산 육류의 수출 기회와 마케팅 전략을 소개합니다. 고기 없인 하루를 상상할 수 없는 나라, 베트남.전통적인 식문화 속에서 고기는 단순한 음식 그 이상으로 ‘정서적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그리고 지금, 도시화·소득 상승·K-Food 인기가 더해지며 육류 시장이 더욱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와 소비 현황 요약 (2024 기준)연간 1인당 육류 소비량63.34kg (세계 58위)동남아 내 순위1위육류 총 소비량489만 톤 (+5.4%)주요 소비 품목돼지고기 (307만 톤)수입 규모15억 2천만 달러한국산 수출727만 달러 (4.8%) 👉 돼지고기가 주류이지만 소고기·닭고기 수입은 꾸.. 2025. 5. 28.
반응형